반응형
기존 구버전에서는 euc-kr charset을 많이 사용했지만 CentOS 7은 UTF-8 사용.
[리눅스 문자셋 확인]
1. echo $LANG
2. locale
3. cat /etc/sysconfig/i18n -> 구버전
[서버 UTF-8 지원 확인]
[서버 문자셋 UTF-8로 변경]
1) localedef -c -i ko_KR -f UTF-8 ko_KR.UTF-8
2) localectl set-locale LANG=ko_KR.UTF-8
명령 실행 후 재부팅 or 로그아웃/재로그인
**서버 문자셋을 UTF-8로 설정했지만 구 서버에서 옮긴 파일들의 한글이 깨지는 경우
서버 문자셋이 EUC-KR로 설정된 서버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한글이 생성될 때 EUC-KR로 설정되어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파일을 구서버에서 옮겨왔을 경우 따로 문자셋 변경이 필요하다. convmv 명령어를 사용해서 옮겨온 파일들의 문자셋을 UTF-8로 변경해준다.
convmv 명령어는 파일의 문자셋을 변환해준다.
1) yum list | grep conv //설치유무 파악
2) yum install convmv //convmv 설치
3) convmv -f euc-kr -t ko_KR.UTF-8 --notest * //모든 euc-kr 파일을 UTF-8 인코딩으로 변환
-f : 파일 원본의 인코딩 지정
-t : 변경될 파일의 인코딩 지정
-r :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
--notest : notest 옵션이 포함되지 않으면 테스트만 실행되고 실제 적용되지 않음
반응형
'개발 이야기 > Server &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유저 패스워드 재 설정 (0) | 2020.02.10 |
---|---|
[Linux] 특정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 검색(grep) (0) | 2020.02.10 |
[Linux] ls 명령어로 파일 용량 단위로 확인하기 (0) | 2020.01.31 |
리눅스 명령으로 썸네일을 회전시킬 때 명령어 실행 오류 (0) | 2020.01.28 |
[Linux] cp 명령어 특정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제외하고 복사하기 (0) | 2020.01.22 |